망하지 않는 기업 고를 때 확인해야 할 지표인 재무레버리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재무레버리지란?
- 자기가 가지고 있는 돈(자기자본) 대비해서 빌려온 모든 빚(총부채)이 이 얼마인 것인지 알려주는 것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내가 내 돈 100만 원을 가지고 있는데 빚이 200만 원이라고 하면 가진 돈보다 빌린 돈이 더 많으니까 재무레버리지가 아주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재무레버리지는 어떻게 구할까요?
1. 재무레버리지 계산법
- 재무레버리지 = (총부채+자기자본)/자기자본
재무레버리지는 가지고 있는 모든 빚(총부채)에서 내가 가진 모든 나의 돈(자기 자본)을 더한 것에서 내가 가진 모든 나의 돈(자기자본)을 나눈 것입니다.
위의 예를 다시 가져오면, 나는 내 돈 100만 원 가지고 있고 내가 가진 모든 빚이 200만 원이니까
재무레버리지 = (200만 원+100만 원)/100만 원 = 300
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내가 가진 돈에 비해서 빌린 돈은 적을수록 좋은 것이니까, 재무레버리지는 숫자가 작을수록 좋겠죠? 왜냐하면 빌린 돈은 많은데 가진 돈이 없으면 갚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항상 재무레버리지가 낮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적당한 레버리지는 회사 성장에 도움을 줄 수도 있습니다.
2. 연습문제) 재무레버리지 계산하기
dart 전자공시 사이트(http://dart.fss.or.kr/)에서 회사 사업보고서의 재무상태표를 확인해보면 부채총계와 자본총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는 삼성전자 2018년 보고서에서 부채총계와 자본총계를 가져온 것인데요. 이것을 이용해서 재무레버리지를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재무레버리지 = (부채총계+자본총계)/자본총계 = (91,604,067+247,753,177)/247,753,177 = 1.37
삼성전자의 재무레버리지는 1.37로 보통 제조업이 1.4보다 낮은 경우는 안정적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에 아주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재무레버리지 말고 내가 가진 돈 대비 빚이 얼마나 많은지 판단할 때 부채비율로 확인하기도 합니다.
부채비율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부채비율 = 총부채/자기 자본
부채비율 계산식이 위와 같기 때문에 결국 부채비율은
재무레버리지 = 1+부채비율
이라서 결국 같은 지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제 주식투자를 하기 전 회사가 좋은 회사인지 판단할 때 제무레버리지도 같이 계산해보시면 되겠죠?
'투자 > 주식,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RPG] 장사 잘되는 기업 고르기 - 활동성 지표 (0) | 2020.01.13 |
---|---|
[가치투자] 연습, 위닉스 기업분석 해보기 (0) | 2020.01.09 |
[투자RPG] 망하지 않는 기업 고르기 - 유동성 지표 (1) | 2020.01.08 |
[투자RPG] 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재무분석으로 종목고르기 방법 - 1 (0) | 2020.01.06 |
[투자RPG] 전자공시 사이트를 이용해서 종목별로 재무제표 분석 방법 (0) | 2020.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