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가 잘되는 기업은 어떤 기업일까요?
장사가 잘되는 기업을 고르는 방법은 그 기업의 물건이 얼마나 빨리 팔리는지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장사가 잘되는 가게는 어떤 가게일까요?
장사가 잘 되는 가게는 가게에 진열된 물건들이 빨리 팔려서 계속해서 물건을 채워 넣어야 하는 가게가 장사가 잘되는 가게겠죠?
동네에서 가장 맛있는 빵집을 예로 들면, 빵이 나오는 시간에 사람들이 줄을서서 빵을 모두 사갑니다. 물건을 생산하자마자 모두 팔리는(재고가 없어지는) 것이지요.
마찬가지로, 기업도 물건을 생산했을 때 아주 빨리 팔린다면(재고가 없어진다면) 장사가 잘되는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장사가 잘되는 기업인지 재무제표를 통해서 확인하는 방법은 활동성 지표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활동성 지표
- 기업의 활동(판매 활동)이 아주 잘 되고 있는가?
1. 활동성 지표 계산 방법
1) 자산회전율
- 자산회전율 = 매출액/총자산
- 자산회전율은 총자산대비해서 회사가 매출을 얼마나 벌고 있는 것인지 확인해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즉, 기업이 자신이 가진 것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제가 붕어빵 기계 1개(10만 원)밖에 없는데, 이 기계로만 100만 원의 돈을 번다면 붕어빵 기계 1개를 얼마나 잘 혹사시키....아니 잘 활용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겁니다.
2) 재고자산회전율
- 재고자산회전율 = 매출원가/일정기간 동안의 평균 보유재고
- 평균 보유 재고 = (기초재고+기말재고)/2
-> 쉽게말하면 (처음에 가지고 있던 재고 + 제일 마지막에 가지고 있던 재고)/2입니다.
- 재고자산회전율은 재고자산이 얼마나 빨리 회전해서 기업의 이익으로 돌아오는지 확인해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즉, 우리 가게 물건이 얼마나 빨리 돌아서 내 주머니에 돈이 차곡차곡 쌓이는지 물건 팔리는 속도를 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면, 1년 동안 평균적으로 가지고 있던 붕어빵 재고가 100만 원어치라고 하고 1년 동안 발생한 매출원가(팥 재료, 기름, 인건비 등)를 1000만 원이라 하면 재고자산회전율은 100만 원/1000만 원 = 10입니다.
즉, 1년 동안 붕어빵 재고가 모두 팔려나간 횟수가 모두 10회라고 할 수 있으며, 1년 365일을 10으로 나누면 365/10 = 36.5 이므로 100만 원어치가 모두 팔리는데 36.5일이면 충분하다는 겁니다. 붕어빵 팔아서 100만 원어치를 파는데 36.5일이면 된다니! 여기가 바로 붕어빵 맛집입니다!
2. 연습문제) 활동성 지표 계산하기
1) 자산회전율
전자공시사이트(http://dart.fss.or.kr/)에서 삼성전자의 2018년 사업보고서를 통해서 활동성 지표를 계산해보겠습니다. 먼저, 2018년 사업보고서를 찾고 연결재무제표로 들어와서 자산총계를 확인합니다.
그다음으로 매출액을 확인합니다.
이제, 자산회전율을 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자산회전율 = 매출액/총자산 = 243,771,415/339,357,244 = 0.7183
자산회전율이 1보다 낮아서 그렇게 높다고 할 순 없겠네요. 2016년, 2017년 연습 삼아 자산회전율도 직접 구해보시면 해가 지날수록 조금씩 낮아진 것을 볼 수 있으며, 자산 활용도가 점점 떨어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재고자산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을 구하기 위해 매출원가와 기초재고, 기말재고를 연결재무제표에서 확인합니다.
재고자산회전율을 구하면,
1년 동안 평균 보유재고 = (기초재고+기말재고)/2 = (24,983,355 + 28,984,704)/2 = 26,984,030
재고자산회전율 = 매출원가/1년 동안 평균 보유재고 = 132,394,411/26,984,030 = 4.9064
4.9064는 1년에 재고를 모두 4.9064번 돌렸다는 말이므로, 일수로 계산하면 365일/4.9064 = 74.3926일로 재고를 총 1번 돌리는데 74일이 걸렸다는 말이 되겠네요. 연습 삼아 작년 것도 계산해보시면 재고자산회전율이 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재고자산회전율이 100일이 넘어가지 않아서 장사가 잘 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네요.
다만, 물건이 잘 팔린다고 해서 주식가치가 오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물건을 빨리빨리 팔 수 있다 하더라도 이익을 내지 못하면 결국 힘들어지기 때문이죠. 회전율을 보실 때 수익성 지표도 꼭 같이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주식투자를 하기 전에 장사가 잘 돼서 물건이 빨리빨리 나가는 기업인지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투자 > 주식,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규 상장하는 기업은 어디서볼까? 공모주 확인하기 (0) | 2020.01.16 |
---|---|
[투자RPG] 돈 잘버는 기업 고르기 - 수익성 지표 (0) | 2020.01.15 |
[가치투자] 연습, 위닉스 기업분석 해보기 (0) | 2020.01.09 |
[투자RPG] 망하지 않는 기업 고르기 - 자본 지표 (0) | 2020.01.09 |
[투자RPG] 망하지 않는 기업 고르기 - 유동성 지표 (1) | 2020.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