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잘 버는 기업은 어떤 기업일까요?
물건을 많이 팔아도 내 손에 들어오는 돈을 많이 남길 수 있는 기업이 돈을 잘 버는 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원가가 100원인 붕어빵 1개를 10,000원에 판다면, 내 손에는 9,900원이 들어오니까 수익성이 아주 좋은 기업이라고 할 수 있죠?
하지만, 아무나 자신이 만든 물건에 비싼 가격에 팔 수는 없을 겁니다. 기술이 뛰어나서 독보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거나, 독점적인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경우 자신이 만든 물건을 비싸게 팔 수 있겠죠?
그럼 이런 수익성 좋은 기업은 어떻게 찾아낼 수 있을까요?
수익성 지표
- 물건을 팔아서 얼마나 많은 돈을 자신에게 남길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
1. 수익성 지표 계산 방법
1) 매출수익률
- 매출수익률 = 순이익/매출액
- 매출수익률은 매출액 대비해서 순이익이 얼마나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하면, 물건 팔아서 순수하게 내 돈을 얼마나 남길 수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지표죠. 예를 들면,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붕어빵 한 개를 10,000원에 팔아서 붕어빵 만드는데 들어간 비용 100원(원가)을 빼고 9,900원을 남길 수 있다면(순이익) 매출수익률은 9,900/10,000 = 99%가 될 것입니다. (이런 기업이 있다면 저한테 빠르게 제보 부탁드립니다.)
2) 자기자본수익률
- 자기자본수익률 = 순이익/자기자본
- 자기자본수익률은 자기자본에 대비해서 순이익이 얼마나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하면, 내가 가진 돈으로 순이익을 얼마나 벌었는지 확인해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면, 내 돈(자기자본) 10,000원을 가지고 있는데 물건을 팔아서 비용을 다 빼고 나니 9,900원을 남겼다면(순이익), 자기자본수익률은 9,900/10,000 = 99%가 되는 것입니다.
2. 연습문제) 수익성 지표 계산하기
전자공시사이트(http://dart.fss.or.kr/)에서 삼성전자의 2018년 사업보고서를 통해서 수익성 지표를 계산해보겠습니다.
1) 매출수익률
2018년 사업보고서에서 연결재무제표로 들어와서 매출액과 순이익을 확인합니다.
위 표에서 보면 매출액은 243,771,415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당기순이익은 44,344,857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출수익률을 계산해보면,
매출수익률 = 순이익/매출액 = 44,344,857/243,771,415 = 18.19%
이 나옵니다. 와우 18.19%로 15%가 넘어가네요. 15% 정도만 돼도 매출수익률은 양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건을 팔고 비용을 모두 제외해도 돈을 많이 남겼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자기자본수익률
자기자본수익률 계산하기 위해 2018년 사업보고서에서 연결재무제표로 들어와서 자기자본과 순이익을 확인합니다.
순이익은 <그림 1>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자본총계(자기자본)을 위 <그림 2>에서 확인해보면 247,753,177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기자본수익률을 계산하면,
자기자본수익률 = 순이익/자기자본 = 44,344,857/247,753,177=17.9%
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기자본수익률도 15%를 넘어가므로 자기자본대비해서 순이익을 양호하게 가져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기업이 물건을 많이 파는 것도 중요하지만, 팔아서 얼마나 남기냐도 확인할 수 있는 수익성 지표도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도 이제 주식투자를 하시기 전에 기업이 돈을 잘 벌고 있는지 수익성 지표를 확인해서 투자해보시길 바랍니다.
'투자 > 주식,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상으로 준 돈은 잘 받고 있는지 어떻게 알지? - 매출채권회전율 (0) | 2020.01.16 |
---|---|
신규 상장하는 기업은 어디서볼까? 공모주 확인하기 (0) | 2020.01.16 |
[투자RPG] 장사 잘되는 기업 고르기 - 활동성 지표 (0) | 2020.01.13 |
[가치투자] 연습, 위닉스 기업분석 해보기 (0) | 2020.01.09 |
[투자RPG] 망하지 않는 기업 고르기 - 자본 지표 (0) | 2020.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