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2)
신규 상장하는 기업은 어디서볼까? 공모주 확인하기 이미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회사들 중 내 마음에 드는 회사가 없다면? 아직 상장하지 않은 기업 중 곧 상장 예정인 기업들의 주식을 미리 사고 싶다면? 가치투자를 지향하는 저로써는 신규 상장된 기업들은 시장원리에 의해서 회사의 가치가 주식 가격에 잘 반영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아직 사람들이 관심이 없는 주식을 찾기 위해서 공모주도 확인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상장예정인 기업들의 주식(공모주)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요? 1. 공모주 확인하기 저 같은 경우는 요즘 세상이 좋아져서 구글에 공모주 청약 일정이라고 검색한 다음 공모주 일정을 보여주는 사이트들이 많이 있습니다. 심지어 상장 예정인 기업들에 대한 기본적인 수익성, 유동성, 자본지표를 계산해서 보여주는 사이트들도 있습니다. 기업공시채널 KIND(..
[투자RPG] 돈 잘버는 기업 고르기 - 수익성 지표 돈 잘 버는 기업은 어떤 기업일까요? 물건을 많이 팔아도 내 손에 들어오는 돈을 많이 남길 수 있는 기업이 돈을 잘 버는 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원가가 100원인 붕어빵 1개를 10,000원에 판다면, 내 손에는 9,900원이 들어오니까 수익성이 아주 좋은 기업이라고 할 수 있죠? 하지만, 아무나 자신이 만든 물건에 비싼 가격에 팔 수는 없을 겁니다. 기술이 뛰어나서 독보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거나, 독점적인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경우 자신이 만든 물건을 비싸게 팔 수 있겠죠? 그럼 이런 수익성 좋은 기업은 어떻게 찾아낼 수 있을까요? 수익성 지표 - 물건을 팔아서 얼마나 많은 돈을 자신에게 남길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 1. 수익성 지표 계산 방법 1) 매출수익률 - 매출수익률 = 순이..
[투자RPG] 장사 잘되는 기업 고르기 - 활동성 지표 장사가 잘되는 기업은 어떤 기업일까요? 장사가 잘되는 기업을 고르는 방법은 그 기업의 물건이 얼마나 빨리 팔리는지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장사가 잘되는 가게는 어떤 가게일까요? 장사가 잘 되는 가게는 가게에 진열된 물건들이 빨리 팔려서 계속해서 물건을 채워 넣어야 하는 가게가 장사가 잘되는 가게겠죠? 동네에서 가장 맛있는 빵집을 예로 들면, 빵이 나오는 시간에 사람들이 줄을서서 빵을 모두 사갑니다. 물건을 생산하자마자 모두 팔리는(재고가 없어지는) 것이지요. 마찬가지로, 기업도 물건을 생산했을 때 아주 빨리 팔린다면(재고가 없어진다면) 장사가 잘되는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장사가 잘되는 기업인지 재무제표를 통해서 확인하는 방법은 활동성 지표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활동성 지표 - 기업의 ..
[가치투자] 연습, 위닉스 기업분석 해보기 전자공시사이트(http://dart.fss.or.kr/)에서 확인할 수 있는 위닉스 사업보고서를 통해서 위닉스 종목에 대한 기업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종목 : 위닉스 종목코드 : 044340 연결재무제표를 확인해서 재무분석을 해보겠습니다. 기준보고서 : 2019년 3분기 보고서, 연결기준 1. 유동성지표 - 유동비율 = 유동자산/유동부채 = 156% (전기 124.2%) 2. 자본지표 - 부채비율 = 총부채/자기자본 62% (전기 85.8%) - 전기대비 총부채증가율 = (당기 총부채-전기 총부채)/전기 총부채 = -7.9% - 전기대비 자본증가율 = (당기 자기자본-전기 자기자본)/전기 자기자본 = 27.6% - 자본에 대한 장기부채 비율 = 장기부채/(부채+자기자본) = 5.75% 유동비율은 전기대비 ..
[투자RPG] 망하지 않는 기업 고르기 - 자본 지표 망하지 않는 기업 고를 때 확인해야 할 지표인 재무레버리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재무레버리지란? - 자기가 가지고 있는 돈(자기자본) 대비해서 빌려온 모든 빚(총부채)이 이 얼마인 것인지 알려주는 것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내가 내 돈 100만 원을 가지고 있는데 빚이 200만 원이라고 하면 가진 돈보다 빌린 돈이 더 많으니까 재무레버리지가 아주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재무레버리지는 어떻게 구할까요? 1. 재무레버리지 계산법 - 재무레버리지 = (총부채+자기자본)/자기자본 재무레버리지는 가지고 있는 모든 빚(총부채)에서 내가 가진 모든 나의 돈(자기 자본)을 더한 것에서 내가 가진 모든 나의 돈(자기자본)을 나눈 것입니다. 위의 예를 다시 가져오면, 나는 내 돈 100만 원 가지고 있..
[투자RPG] 망하지 않는 기업 고르기 - 유동성 지표 망하지 않는 기업은 어떤 기업일까요? 망하지 않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내야하는 이자를 다 내고 빚을 모두 다 갚고도 계속해서 돈을 버는 사람이겠죠 기업도 똑같습니다. 빚이 적어서 이자를 다 냈는데도 돈이 남고, 빚이 적어서 사업이 잘 안될때도 다시 잘 될때까지 버틸 수 있는 기업이겠죠? 그렇다면 그런 기업은 어떻게 찾는지 알아볼까요. *유동성지표 - 가진 거 다 팔아서 얼마까지 만들 수 있어? - 유동성 지표라는 것은 회사가 제 3자에게 돈을 줘야 할때 현재 가진 것 다 팔아서 현금으로 만들 수 있는게 빚보다 많은지 확인해 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즉, 친구한테 빌린돈이 만원이 있는데, 집에서 사놓고 10년째 옷걸이로 쓰고 있는 운동기구가 있습니다. 이 운동기구를 중고나라에 팔면 만원이라네요. 그러면 친..
[투자RPG] 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재무분석으로 종목고르기 방법 - 1 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재무분석에 대해서 한번 알아봅시다. 다들 숫자가 큰 것과 작은 것은 알고 있으실 겁니다. 이것만 이용해서 할 수 있는 간단한 재무분석을 알아봅시다. * 재무분석 기준 * 1. 올라가야하는 것 - 매출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2. 내려가야하는 것 - 부채비율 3. 작을수록 좋은 것 - PER - PBR 이 기준으로 한번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아래 사진은 네이버 금융에서 삼성전자를 검색해서 나온 재무제표 입니다. (출처 :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930) 1 올라가야하는 것 제일 위에 보면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있을 거에요. 이 3가지가 연도별로 올라가면? 합격입니다. 2. 내려가야하는 것 중간에 보시면 부채..
[투자RPG] 전자공시 사이트를 이용해서 종목별로 재무제표 분석 방법 DART 전자공시 사이트(http://dart.fss.or.kr/)에서 종목별로 재무제표를 간단하게 분석해보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준비물 1 .엑셀 엑셀을 가지고 계신 분이라면 DART 전자공시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공시정보활용마당-재무정보 일괄다운로드 메뉴(http://dart.fss.or.kr/dsext002/main.do)에 접속해줍니다.) 그러면 사업연도별, 보고서별로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 4가지 중에서 분석을 원하시는 것을 클릭해서 다운로드해주시고 압축을 풀어주시면 됩니다. 다운로드한 후에는 밑에 재무정보 분석용 엑셀 템플릿이라고 적혀있는 분의 오른쪽에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해서 엑셀 템플릿(. xlsxm 확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