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주식, ETF

[주식시장분석] 주식시장을 움직이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주식투자 방법 중에서도 가치투자를 가장 좋아한다.

가치투자는 주식 가격에 변동성이 있어도 결국 주식의 가격은 기업의 가치를 따라갈 것이라는 것에 기반한다.

그렇다면, 주식의 가격은 왜 항상 기업가치와 일치하지 않고 움직이는 것인가?

그 원인을 나는 주식은 시장에서 거래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즉, 주식은 시장에서 거래되는 하나의 상품이고,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시장 참여자(수요자와 공급자)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거래가 성사되기 위해서는 수요자와 공급자가 각각 원하는 가격이 일치해야 한다.

그렇다면 주식시장에는 어떤 시장참여자들이 있을까?

  1. 첫 번째로, 나처럼 주식 가격이 적정한 가격 이하로 내려가면 매수하는 가치투자자들이 있을 것이다.
  2. 두 번째로, 차트를 보고 지지선과 저항선 등을 보면서 매매하는 트레이더가 있을 것이다.
  3. 세 번째로, 매크로를 분석해서 매크로 환경에 따라서 투자를 할지 말지 결정하는 투자자들이 있을 것이다.
  4. 네 번째로, 테마에 따라서 투자를 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이 외에도 기타 여러 가지 유형이 많을 수 있지만, 큰돈을 움직이는 기관이나 전문투자자들은 아마 1~3번 중에 하나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내가 생각하는 주식시장의 사이클별 시장참여자

내가 생각하는 주식시장의 사이클별 시장 참여자는 아래와 같다.

20달러가 적정 가격이라고 생각하는 A주식을 예로 들어보자. A주식은 30~40 달러를 왔다 갔다 하다가 어느 날 금리인상 이슈로 인해서 20달러까지 떨어졌다. 이때 발생했던 상황을 위 시장 참여자 유형별로 생각해보자.

여기서 20달러까지 떨어질 때 공급자 역할을 했던 사람, 즉 매도자의 경우 세 번째 유형의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은 연방준비은행이 금리를 인상한다는 시그날을 주자, 금리인상은 주식시장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므로 매크로 환경에 따라서 주식을 매도했을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로 공급자 역할을 했던 사람은 두번째 유형인 트레이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매크로 투자자들의 매도로 A주식의 그래프가 하향 추세를 그리자 이들도 공급자 역할로 돌아서면서 주식을 매도했을 것이다.

그리고 A주식의 가격이 20달러가 적정가치라고 생각하는 가치투자자들은 A주식의 가격이 30달러에서 20달러까지 떨어지는 동안 지켜만 보고 있다가 20달러가 되었을 때 매수를 하기 시작할 것이다.

즉 20달러부터는 30~20달러 구간까지 팔았던 많은 공급자들은 떠나가고, 그래도 아직 모두 정리를 하지 못해서 20달러에 팔고자 하는 공급자와 20달러에 사고자하는 가치투자자가 시장에 참여하는 것이다. 그래서 하락세는 이전보다 약해진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만약 이 20달러 구간에서 추가적인 매크로 이슈가 발생한다면 세 번째 유형의 사람들은 남은 주식까지 처분하려고 할 것이며, 다시 매도세가 나올 수도 있다. 그리고 만약 15달러가 된다면, 15달러가 바겐세일이라고 생각하는 첫번째 유형의 투자자들은 적극적인 매수세를 보일 것이다.

그리고 세번째 유형의 사람들은 더 이상 팔 물량이 없어지고, 시장에는 다시 긍정적인 매크로 지표가 나온다면 세번째 유형의 사람들은 다시 주식을 사기 시작할 것이다. 그리고 상승추세가 생기면 두 번째 유형의 사람들도 시작에 매수자로 참여할 것이다. 그리고 A 주식은 다시 30~40달러를 되찾을 것이고, 회사의 실적이 더 좋다면 40~50달러까지 갈 것이다.

그렇다면 주식시장에서 내가 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

매크로 투자자보다 먼저 움직여서 하락장이 오기 전에 먼저 매도하고, 상승장이 오기전에 먼저 매수를 하는 것이 가장 좋아 보인다. 하지만, 매크로 지표를 예측하고 투자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그리고 한 두 개의 매크로 지표로 인해서 시장이 항상 똑같은 반응을 하는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추세가 생기는 타이밍을 보고 트레이딩을 하는 것이 좋을까? 나는 추세가 생긴다고 해도 시장이 쉽게 반대 추세로 돌아설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트레이딩은 난이도가 높다고 생각해서 접근하지 않는 방법이다.

그렇다면 결국 가치투자지만 ㅎㅎ (너무 답정너인가..) 시장 참여자들이 추세를 만들고 주식의 정적 가격을 만들어주면, 그때 매수하는 가치투자가 가장 쉬운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주식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할 때는 괴롭겠지만, 결국 가격이 하락했을 때 매수해 놓고 기다린다면, 다시 매크로와 추세에 따라서 주식 가격은 상승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가치투자 방법이 가장 괜찮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