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주식, ETF (27)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0년 미국 인버스에 투자해야하는가? 자산의 가격에 버블이 생길 경우에는 자산의 가격은 다시 예전으로 돌아갈려는 성질이 있는 것을 과거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면 지금 현재 미국 주식시장은 과열상태이고, 버블이 꼈으며, 인버스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까? 주식시장이 과열이 됐다 하더라도 주식시장은 큰 하락없이 다시 올라갈 수도 있고, 버블붕괴로 인해 하락장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미래는 예측할 수 없으므로 확률적으로 접근했을 때 상승할 가능성, 하락할 가능성, 상승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이익, 하락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이익의 관점에서 접근해봐야한다. 즉, 아래 1번과 2번의 값을 계산 하여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곳에 투자해야한다. 1. (상승할 가능성) X (상승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이익) 2. (하락할 가능성) X (하락할 경..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 - 시간을 레버리지 하라 레버리지의 개념 지식백과 상식으로 보는 세상의 법칙에 따르면 레버리지(Leverage)의 의미는 자산 투자로부터의 수익 증대를 위해 차입자본(부채)을 끌어다가 자산매입에 나서는 투자전략을 총칭하는 말을 의미한다. 즉, 보통은 레버리지를 한다는 것은 남의 돈을 빌려와서 그 돈으로 투자하여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시간에도 적용할 수 있는 레버리지 하지만 레버리지는 시간의 개념에도 적용할 수 있다. 개개인별로 현재 가지고 있는 돈, 능력은 다르지만 시간은 모두에게 동일하게 주어진다. 하지만 시간도 레버리지를 할 수 있다. 남의 시간을 이용해서 나의 돈을 불리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그 방법 중 한 개가 바로 투자이다. 투자는 당신의 시간을 두배로 만들어준다. 만약 주식을 사게 된다면, 그것은 그 .. 외상으로 준 돈은 잘 받고 있는지 어떻게 알지? - 매출채권회전율 장사를 하다 보면 종종 외상으로 물건을 팔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붕어빵 장사를 하다가 손님에게 붕어빵을 만 원어치 팔았는데, 만원이 없어서 내일 다시 들러서 주겠다고 합니다. 저는 일단 알겠다고 하고 그 손님한테 만원을 받아야 한다고 장부에 기록해놓았습니다. 그다음 날, 손님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그다음 날도 나타나지 않았어요! 과연 이 외상금은 받을 수 있을까요? 기업에서 물건을 판매할 때도 물건을 먼저 주고 돈을 나중에 받기로 하는 거래를 많이 합니다. 이런 경우 기업은 자신이 판매한 돈을 매출채권으로 기록을 합니다. 예를 들면, 군고구마 대기업에서 군고구마 100만 원어치를 30일 뒤에 돈을 받기로 하고 팔았다면, 매출채권 100만으로 기록해놓고 30일 뒤에 돈을 받는 것입니다. 하지만, .. 신규 상장하는 기업은 어디서볼까? 공모주 확인하기 이미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회사들 중 내 마음에 드는 회사가 없다면? 아직 상장하지 않은 기업 중 곧 상장 예정인 기업들의 주식을 미리 사고 싶다면? 가치투자를 지향하는 저로써는 신규 상장된 기업들은 시장원리에 의해서 회사의 가치가 주식 가격에 잘 반영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아직 사람들이 관심이 없는 주식을 찾기 위해서 공모주도 확인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상장예정인 기업들의 주식(공모주)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요? 1. 공모주 확인하기 저 같은 경우는 요즘 세상이 좋아져서 구글에 공모주 청약 일정이라고 검색한 다음 공모주 일정을 보여주는 사이트들이 많이 있습니다. 심지어 상장 예정인 기업들에 대한 기본적인 수익성, 유동성, 자본지표를 계산해서 보여주는 사이트들도 있습니다. 기업공시채널 KIND(.. [투자RPG] 돈 잘버는 기업 고르기 - 수익성 지표 돈 잘 버는 기업은 어떤 기업일까요? 물건을 많이 팔아도 내 손에 들어오는 돈을 많이 남길 수 있는 기업이 돈을 잘 버는 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원가가 100원인 붕어빵 1개를 10,000원에 판다면, 내 손에는 9,900원이 들어오니까 수익성이 아주 좋은 기업이라고 할 수 있죠? 하지만, 아무나 자신이 만든 물건에 비싼 가격에 팔 수는 없을 겁니다. 기술이 뛰어나서 독보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거나, 독점적인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경우 자신이 만든 물건을 비싸게 팔 수 있겠죠? 그럼 이런 수익성 좋은 기업은 어떻게 찾아낼 수 있을까요? 수익성 지표 - 물건을 팔아서 얼마나 많은 돈을 자신에게 남길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 1. 수익성 지표 계산 방법 1) 매출수익률 - 매출수익률 = 순이.. [투자RPG] 장사 잘되는 기업 고르기 - 활동성 지표 장사가 잘되는 기업은 어떤 기업일까요? 장사가 잘되는 기업을 고르는 방법은 그 기업의 물건이 얼마나 빨리 팔리는지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장사가 잘되는 가게는 어떤 가게일까요? 장사가 잘 되는 가게는 가게에 진열된 물건들이 빨리 팔려서 계속해서 물건을 채워 넣어야 하는 가게가 장사가 잘되는 가게겠죠? 동네에서 가장 맛있는 빵집을 예로 들면, 빵이 나오는 시간에 사람들이 줄을서서 빵을 모두 사갑니다. 물건을 생산하자마자 모두 팔리는(재고가 없어지는) 것이지요. 마찬가지로, 기업도 물건을 생산했을 때 아주 빨리 팔린다면(재고가 없어진다면) 장사가 잘되는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장사가 잘되는 기업인지 재무제표를 통해서 확인하는 방법은 활동성 지표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활동성 지표 - 기업의 .. [가치투자] 연습, 위닉스 기업분석 해보기 전자공시사이트(http://dart.fss.or.kr/)에서 확인할 수 있는 위닉스 사업보고서를 통해서 위닉스 종목에 대한 기업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종목 : 위닉스 종목코드 : 044340 연결재무제표를 확인해서 재무분석을 해보겠습니다. 기준보고서 : 2019년 3분기 보고서, 연결기준 1. 유동성지표 - 유동비율 = 유동자산/유동부채 = 156% (전기 124.2%) 2. 자본지표 - 부채비율 = 총부채/자기자본 62% (전기 85.8%) - 전기대비 총부채증가율 = (당기 총부채-전기 총부채)/전기 총부채 = -7.9% - 전기대비 자본증가율 = (당기 자기자본-전기 자기자본)/전기 자기자본 = 27.6% - 자본에 대한 장기부채 비율 = 장기부채/(부채+자기자본) = 5.75% 유동비율은 전기대비 .. [투자RPG] 망하지 않는 기업 고르기 - 자본 지표 망하지 않는 기업 고를 때 확인해야 할 지표인 재무레버리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재무레버리지란? - 자기가 가지고 있는 돈(자기자본) 대비해서 빌려온 모든 빚(총부채)이 이 얼마인 것인지 알려주는 것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내가 내 돈 100만 원을 가지고 있는데 빚이 200만 원이라고 하면 가진 돈보다 빌린 돈이 더 많으니까 재무레버리지가 아주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재무레버리지는 어떻게 구할까요? 1. 재무레버리지 계산법 - 재무레버리지 = (총부채+자기자본)/자기자본 재무레버리지는 가지고 있는 모든 빚(총부채)에서 내가 가진 모든 나의 돈(자기 자본)을 더한 것에서 내가 가진 모든 나의 돈(자기자본)을 나눈 것입니다. 위의 예를 다시 가져오면, 나는 내 돈 100만 원 가지고 있.. 이전 1 2 3 4 다음